반응형
코스닥지수는 1996년 7월 1일을 산출 기준으로 합니다. 기준 시점 코스닥 시가총액을 1000포인트로 놓을 때 비교 시점 시가총액은 얼마인지를 구해 산출합니다. 코스피지수 산출 기준 단위는 1000포인트이며, 코스닥지수도 1000포인트입니다.
코스닥지수 1000포인트 된 배경
처음에 코스닥지수도 기준 시점 시가총액을 100포인트로 놓고 산출했는데, 2003년 지수가 37포인트까지 떨어졌던 역사가 있습니다. 지수가 세계 어느 증시에서도 볼 수 없는 수준으로 낮아지자, 종합지수가 너무 낮으면 증시 이미지가 나빠진다는 주장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숫자를 키워 보기 좋게 만들자는 아이디어가 나왔고, 2004년 1월 26일부터 기준 값을 100포인트에서 1000포인트로 바꿔졌습니다. 코스닥시장은 이후 계속 부진했으며, 기준 단위를 바꾼 뒤 사상 최고치는 932.01포인트(2018년 1월), 예전 기준(100포인트 단위)으로 본다면 93포인트 정도입니다.
반응형
'금융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채권 투자와 시장 금리 (채권 투자 방법) (0) | 2023.02.26 |
---|---|
다우지수 나스닥지수 S&P500지수 봐야 하는 이유 (0) | 2023.02.26 |
주식 변동폭 상한가 하한가 제한을 두는 이유 (0) | 2023.02.25 |
장외 주식 거래 시장 (비상장 KOTC 한국장외시장) (0) | 2023.02.25 |
기업 채권 평가 신용등급 (차환 신용평가) (0) | 2023.02.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