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상식

ROE(자기 자본 이익률) ROI(투자 수익률) 뜻과 해석 및 차이점

by PoweredbyTistory 2022. 7. 17.
반응형

 

 

ROE와 ROI는 투자자들이 투자를 결정할 때 고려하는 중요한 참고 자료입니다.

 

ROI는 경영성과를 종합적으로 판단하지만, 타인자본의 사용으로 ROI가 증가하는 경우도 있어 기업의 효율성을 제대로 측정하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단점을 ROE를 이용함으로써 보완할 수 있습니다. 

 

 

ROE와 ROI 뜻과 해석

 

ROE(자기 자본 이익률)는 경영자가 주주의 자본을 활용하여 얼마만큼의 이익을 올리고 있는가를 나타내는 지표로, 기업의 손익계산서상의 순이익을 자기 자본으로 나눈 비율을 뜻합니다. ROE가 높다는 것은 그만큼 기업이 자본을 효율적으로 운영해 이익을 많이 낸다는 뜻이며, 주가도 높게 형성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자기 자본 이익률(ROE) = 순이익/자기 자본 X 100

 

ROI(투자수익률)은 경영성과를 종합적으로 측정하는 데 이용되는 가장 대표적인 재무비율입니다. 순이익을 총투자액으로 나누어 산출하는데 총투자는 대차 대조표 상의 총자본과 금액이 같고 이것은 다시 총자산과 같기 때문에 총자본 이익률 혹은 총자산이익률(Return on Asset ROA)도 투자수익률과 같은 의미로 쓰입니다.

 

ROI 분석은 미국의 화학회사 듀퐁사가 사업부의 업적을 평가, 관리하기 위한 방법으로 개발되었습니다. 경영성과의 종합 척도가 곧 투자수익률이라 보고 이를 결정하는 재무 요인을 체계적으로 관찰하여 통제하는 기법입니다.

 

  • 투자수익률(ROI) = 순이익/총투자액(총자본) X 100

 

 

 

 

ROI, ROE의 비슷하지만 차이점

 

ROI와 ROE는 모두 수익 창출 측면에서 회사 또는 투자자가 얼마나 건전하거나 효율적인지 평가하는 데 도움이 되는 유용한 성과 지표입니다. 따라서 투자 수익률(ROI)은 기업의 성과를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주요 도구입니다. ROI는 투자 비용과 관련된 이익 또는 손실을 고려하여 비즈니스 또는 투자의 수익성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성과 측정입니다.

 

반면 자기 자본 이익률(ROE)은 자기 자본 대비 기업의 수익성을 평가하는 재무 지표입니다.

 

이러한 두 용어의 의미에도 불구하고 서로 다른 용도로 사용되기 때문에 혼용하여 사용할 수 없으며 ROI는 비즈니스 투자, 비즈니스 결정에서 얻은 이익을 정의하려고 하며 ROI를 계산하는 목적은 투자의 수익성을 측정하여 투자가 비즈니스 수익을 창출하는데 얼마나 효과적인지 평가하는 것입니다.

 

반면에 ROE는 회사의 투자가 아닌 주주의 투자에 대한 수익률을 측정합니다. ROE를 계산하는 목적은 자기 자본과 비교할 때 회사가 얼마나 많은 이익을 창출하는지 평가하는 것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