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물환 거래는 영어로 'Forward Exchange Transaction'라고 하며 외화 표시된 자산 또는 부채의 급격한 환율 변동 위험을 피하기 위해 미리 약속해서 정한 장래의 일정한 시기에 일정 금액의 외화를 매입하거나 매도 가능하도록 계약하는 외환 거래입니다.
선물환 거래의 특징
일반적으로 환리스크를 헤지(hedge) 하기 위한 목적과 투기적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선물환율은 선물환 거래에 적용되는 가격인데, 이것은 기본적으로 현물환율을 기준으로 두 통화 간 이자율 차이를 반영하여 산출합니다. 선물환 거래는 원천적으로 일정 기간 후에 양 통화를 교환하기 때문에 그 기간 동안 이자율이 높은 통화는 이자율이 낮은 통화보다 더 높은 이자 수익을 얻습니다.
동일한 조건 하에서 고금리 통화는 현물환율보다 불리한 선물환율을 형성하고 저금리 통화는 현물환율보다 유리한 선물환율을 적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프리미엄 vs 디스카운트
저금리 통화의 선물환율이 현물환율보다 유리해진 교환 조건을 프리미엄이라 하고, 고금리 통화의 선물환율이 현물환율보다 불리해진 교환 조건을 디스카운트라고 합니다.
선물환율 계산법
선물환율을 계산하기 위해 스왑 레이트(Swap rate)를 사용하는데, 현물환율에서 디스카운트( - ) 또는 프리미엄 ( + ) 되는 숫자로서 두 통화의 이자율 차이를 환율로 표시한 것입니다.
선물환율 = 현물환율 +/- 스왑 레이트
환율을 Bid rate(매입률) - Offer rate(매도율)로 이중 고시하는 경우 스왑 레이트의 Bid값이 Offer값보다 큰 경우 현물환율에 스왑 레이트를 차감하여 선물환율을 계산합니다.
Bid값이 Offer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현물환율에 스왑 레이트를 더하여 선물환율을 산출합니다.
- Bid rate(매입률) > Offer rate(매도율)
선물환율 = 현물환율 - 스왑 레이트(선물환 디스카운트)
- Bid rate(매입률) < Offer rate(매도율)
선물환율 = 현물환율 + 스왑 레이트(선물환 프리미엄)
현물환율이 선물환율보다 큰 경우에는 양국 간 금리에 있어서 기준통화의 금리가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EURO/KRW이 1,300원이고 유로화(기준통화) 금리가 2.5% 원화(피고시 통화) 금리가 4.5%인 경우에는 선물환율(5개월 만기 선물환율)을 구하기 위해서는 피고 시 통화 금리와 기준 통화 금리의 차이를 현물환율에 곱해서 산출하는 것입니다.
선물환율 = 현물환율 + 현물환율 x (피고시 통화 금리 - 기준통화 금리) x 기간(개월 수/12 또는 일수/360)
- 선물환율
= 1,300 + 1,300 (4.5% - 2.5%) x (5/12)
= 1,300 + 10.83
=1310.83
선물환율이 1,310.83원으로 현물환율(1,300) 보다 높게 나타나며 이는 기준통화(유로화)의 금리가 피고시 통화 금리(원화) 보다 낮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기준통화 금리가 피고시 통화 금리보다 낮은 경우 선물환율은 현물환율보다 높아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실시간 환율 스트리밍 보는 방법
환율 | 통화환율 | 교차환율
읽기 쉬운 전문가용 테이블 포맷으로 제공되는 여러 단일통화 환율 데이터에 실시간으로 접속하세요.
kr.investing.com
'금융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채권의 유통 방식과 신용평가사 신용등급 (채권 용어) (0) | 2022.11.12 |
---|---|
대차대조표(Balance Sheet) 항목 영문 표기법 (0) | 2022.11.11 |
간이 영수증의 한도는 얼마까지? (접대비, 일반비용) (0) | 2022.07.28 |
양적 완화(QE)는 수출 경쟁력을 높이는 방식 (0) | 2022.07.22 |
ROE(자기 자본 이익률) ROI(투자 수익률) 뜻과 해석 및 차이점 (0) | 2022.07.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