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물정상식

장기요양등급 절차, 방문조사 항목 내용

PoweredbyTistory 2023. 2. 18.
반응형

 

장기요양 등급판정은 주관적인 개념인 "건강이 안 좋다", "큰 병에 걸렸다"가 아닌 "심신의 기능상태에 따라 일상생활에서 도움이 얼마나 필요한가"를 지표 화한 장기요양인정점수를 기준으로 합니다. 장기요양인정점수를 기준으로 6개 등급으로 등급판정을 합니다.

 

등급 기준

 

장기요양등급 심신의 기능상태
1등급
일상생활에서 전적으로 다른 사람의 도움이 필요한
자로서 장기요양인정 점수가 95점 이상인자

2등급
일상생활에서 상당 부분 다른 사람의 도움이 필요한
자로서 장기요양인정 점수가 75점 이상 95점 미만인 자

3등급
일상생활에서 부분적으로 다른 사람의 도움이 필요한
자로서 장기요양인정 점수가 60점 이상 75점 미만인 자

4등급
일상생활에서 일정 부분 다른 사람의 도움이 필요한
자로서 장기요양인정 점수가 51점 이상 60점 미만인 자

5등급
치매환자로서 장기요양인정 점수가 45점 이상 51점 미만인 자

인지
지원
등급
치매환자로서 장기요양 인정 점수가 45점 미만인 자

 

등급판정 절차

 

  1. 인정신청
  2. 방문조사 - 장기요양인정조사표에 의한 (65개 항목조사, 25개 욕구조사)
  3. 등급판정 - 장기요양인정 점수산정 >>"의사소견서 제출" >> 등급판정 위원회 심의판정
  4. 1~5 등급, 인지지원등급, 등급 외 

 

 

노인장기요양보험 인정 신청 방법 및 등급판정

치매나 고령으로 인해 야기되는 질병 등 노인환자가 발생했을 경우, 노인성 질병이 있는 환자에 대한 부양을 가족 내에서 해결해야 했던 부양의무를 사회적 책임으로 확대하여 그 가족에게는

thebatteries.tistory.com

 

장기요양등급 방문조사 내용

 

방문조사

인정신청을 하게 되면 간호사, 사회복지사, 물리치료사 등으로 구성된 공단소속장기요양 직원이 직접 방문하여 [장기요양인정조사표]에 따라 항목을 조사합니다. 

 

영역 항목
신체기능
(12항목)

옷벗고 입기
세수하기
양치질하기
식사하기
목욕하기
체위변경하기
일어나 앉기
옮겨앉기
방밖으로 나오기
화장실 사용하기
대변 조절하기
소변 조절하기

인지기능
(7항목)

단기 기억장애
지시불인지
날짜불인지
상황 판단력 감퇴
장소불인지
의사소통/전달장애
나이/생년월일 불인지

행동변화
(14항목)

망상
서성거림, 안절부절 못함
물건 망가트리기
환청, 환각
길을 잃음
돈/물건 감추기
슬픈상태, 울기도함
폭언, 위협행동
부적절한 옷입기
불규칙수면, 주야혼돈
밖으로 나가려함
대/소변 불결행위
도움에 저항
의미가 없거나 부적절한 행동

간호처치
(9항목)

기관지절개관 간호
경관영양
도뇨관리
흡인
욕창간호
장루간호
산소요법
암성통증간호
투석간호

재활
(10항목)

운동장애(4항목)
우측상지
우측하지
좌측상지
좌측하지


관절제항(6항목)
어깨관절
팔꿈치관절
손목 및 수지관절
고관절
무릎관절
발목관절

 

장기요양인정점수 산정

신청인의 심신상태를 나타내는 52개 항목의 조사 결과를 입력하여 [장기요양인정점수]를 산정합니다.

 

등급위원회 판정

등급판정위원회는 방문조사 결과, 의사소견서, 특기사항 등을 기초로 신청인의 기능상태 및 장기요양이 필요한 정도 등을 등급판정 기준에 따라 심의 및 판정합니다. 

 

심의판정
자료
요양필요
상태심의
등급판정기준 등급판정기준

-인정조사결과
-의사소견서
-특기사항


-일상생활
 자립도
-등급별상태

1등급:95점이상
2등급:75~95점
3등급:60점~75점
4등급:51점~60점
5등급:45점~51점미만&치매
인지지원등급: 45점미만&치매
-인정유호기간
변경

-급여이용에 대한
의견제시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