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4년 전국 공동주택 공시가격은 전년보다 1.52% 상승했으며 서울 등 집값이 오른 지역의 보유세와 재산세, 건강보험료 부담은 이에 따라 커질 수 있습니다. 부동산 가격의 상승기에 무리하게 적용된 제도를 변경함의 정책 방향에 맞춰 2020년 수준을 적용한 조치입니다.
과세표준 산정 기준
지역별로 세종이 전년보다 6.45% 올라 가장 큰 상승 폭을 보였고, 서울은 3.25% 상승했습니다. 아파트 가격 회복세가 지역별로 양극화되는 공시가격 역시 편차가 두드러졌으며, 서울 강남권은 가격이 올랐지만 영끌이 많은 젊은 층 노원, 도봉, 강북 지역은 부동산 침체에 이를 수 있습니다. 공시가격이 소폭 상승하면서 주택 소유자들의 보유세 부담도 전년과 비슷한 수준으로 전망됩니다.
공시가격 조회 방법
- 국토교통부 홈페이지 접속합니다.
- [메뉴]의 '주택'을 누릅니다.
- 공동주택공시가격 - '공동주택가격 열람'을 클릭합니다.
- [텍스트검색], [지도검색]에서 시/도 구분, 시/군/구 선택한 후, 도로명을 검색합니다.
- 건물번호를 입력하거나 아파트명 또는 단지명을 입력합니다.
- 공동주택가격(안) 확인합니다.
<공시가격 조회 바로가기>
신종 전세사기 사례와 대처 방법 (전입신고 통보서비스 신청)
전세사기가 기승인 요즘, 본인 확인 절차가 허술한 전입신고 제도를 악용해 세입자를 전출시킨 뒤 집주인이 주택담보대출을 받거나 세대주가 있는 집에 또 다른 세대주를 몰래 전입시키는 나쁜
thebatteries.tistory.com
무료 토지이용계획열람 하는 법
토지투자 시 토지이용계획확인원을 열람하는 이유는 지목, 면적, 개별공시지가, 용도지역, 지구, 구역, 도로조건, 접도구역유무, 토지거래허가구역유무, 도면상 도로접 및 배수로 유무 등을 확
thebatteries.tistory.com
반응형
'부동산 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료 토지이용계획열람 하는 법 (0) | 2023.08.19 |
---|---|
신종 전세사기 사례와 대처 방법 (전입신고 통보서비스 신청) (0) | 2023.03.12 |
임대차 계약 시 주의사항 (1) | 2023.02.23 |
등기부등본 용어 해설 정리 (0) | 2023.02.23 |
임대차 계약 전 건물 확인 서류 3가지 (0) | 2023.02.22 |